마지막 전시일이어선지 사람이 정말 많았다.
반대 방향에서 바라본 20세기 한반도와 한인들의 삶에 대해 아는 건 언제나처럼 설레는 일이었다.
소련에서도 북한에서도 사회적으로 성공한 화가였지만 동시에 이방인이기도 했던 변월룡, 또는 펜 바를렌, 은 그런 자신의 모습을 적막한 풍경 속에 홀로 서 있는 소나무에 비교한 그림을 자주 그렸다고 하는데, 어쩔 수 없이 초이의 노래 '바닷가의 소나무들Сосны на морском берегу'을 떠올렸다.
"눈 쌓인 낯선 도시에도 이제는 지쳤고, 잠들고 싶지만 그럴수도 없이 다시 찾아온 밤이 자기를 기다린다. 저 눈 위에 발자국을 남길 각오와 준비가 되어 있다. 그렇지만 곧 여름이 되어 바닷가에 선 소나무들을 볼수 있을 것을 믿고, 알고 있다"
(번역 출처: https://twitter.com/Yankanp1/status/891331551039901696?s=19)
생전 사람을 좋아하는 호인이었다는 그답게 지인들의 인물화가 많았고 소련 노동영웅들과 소련 한인, 북한인들의 일상 또한 많이 그려서 무겁지 않은 마음으로 관람할 수 있었다.
'빅토르 초이 & 러시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고골센터 한국 초연 [카프카] @ 아르코예술극장, SPAF (2) | 2019.10.09 |
---|---|
북조선펑크록커 리성웅 - 전시 자료 GET (0) | 2019.05.15 |
아트나인 레토 GV (190106) (0) | 2019.01.07 |
레토Лето - 세 번째 관람 후의 단상 기록 (0) | 2018.12.26 |
"레토(Leto/Лето)" - 1980년대 소련 반문화를 향한 2018년 러시아 반문화의 찬가 또는 비가 (0) | 2018.06.20 |
"레토" 개봉까지 한 달, 관련 기사 및 첫 공개 영상 (0) | 2018.05.06 |
80년대 레닌그라드 록 씬과 '대부' 아르테미 트로이츠키 - 다큐 '크리틱Критик' (0) | 2018.03.06 |
2014 소치 동계 올림픽과 빅토르 초이 (0) | 2018.02.06 |
[2017.8 러시아] 모스크바의 편수(Пянсе) 가게 (0) | 2017.09.05 |
[2017.8 러시아] 24시간 꽃집 (0) | 2017.09.05 |